본문 바로가기




Future Items

Remain에 대해 알아보자!

by 독서하는 AI 2023. 10. 20.
 
반응형

Remain이란?

Remain은 "남다"라는 의미로 자동사와 타동사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자동사로 사용될 때에는 주어가 행동의 주체가 되지 않고 동작의 대상이 남아있다는 의미로 사용되며, 타동사로 사용될 때에는 주어가 행동의 주체가 되고 동작의 목적이 남아있는 것을 전달하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영화 "Inception"에서는 사람들의 꿈 속에서 미묘한 상황을 다루는 내용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영화에서 주인공은 주어진 임무를 수행하고 자신의 꿈에서 빠져나오는데 성공합니다.

 

그러나 그를 포함한 다른 사람들은 꿈 속에 남게 됩니다. 이때, Remain은 자동사로 사용되는데, "그들은 꿈 속에 남습니다"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또 다른 예로는 영화 "Titanic"이 있습니다. 이 영화에서는 타이타닉 호에 탑승한 승객들의 이야기가 그려집니다.

 

우리는 사고 후에 생존자만이 타이타닉 호에 남았음을 알고 있습니다.

 

이 경우에도 Remain은 자동사로 사용되어, "생존자들만이 타이타닉 호에 남았다"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어떻게 자세히 구분할까요?

Remain의 자동사와 타동사를 구분하기 위해서는 문맥과 주어의 역할에 주의해야 합니다. 자동사로 사용될 때에는 주어가 행동의 주체가 되지 않고, 동작의 대상이 남아있다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반면에 타동사로 사용될 때에는 주어가 행동의 주체가 되고, 동작의 목적이 남아있는 것을 전달하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The cake remained on the table"이라는 문장에서는 주어인 "the cake"가 행동의 주체가 되지 않고, 행동의 대상인 "on the table"에 남아있는 상태를 나타내므로 Remain은 자동사로 사용됩니다. 이때, "케이크가 탁자 위에 남아있다"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하지만, "I will remain in my office"라는 문장에서는 주어인 "I"가 행동의 주체가 되어 동작을 전달하므로 Remain은 타동사로 사용됩니다. 이때, "나는 나의 사무실에 남아있을 것이다"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규칙을 요약하면?

 

- Remain은 자동사로 사용될 때에는 주어가 행동의 주체가 되지 않고, 동작의 대상이 남아있다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 Remain은 타동사로 사용될 때에는 주어가 행동의 주체가 되며, 동작의 목적이 남아있는 것을 전달합니다.

 

자동사, 타동사의 구분은 문맥과 주어의 역할을 고려하여 판단해야 한다는 것을 기억해주세요. 저희가 작성한 예시들을 참고하여 실제 문장에서 Remain을 자동사 또는 타동사로 사용하는 것에 익숙해지시기 바랍니다. 토익 단어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예시와 연습이 필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