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덧 연말정산 준비의 시간이 다시 돌아왔습니다.
특히 맞벌이 부부에게는 세심한 전략이 필요한 시기인데요.
간단하게 5가지 방법으로 맞벌이 부부 연말정산 몰아주기 방법을 요약해 봤습니다.
국세청 홈택스
국세청 연말정산 미리보기 서비스를 활용해 보세요!
www.hometax.go.kr
부부 연말정산 몰아주기 방법 5가지
항목 | 전략 | 설명 |
---|---|---|
1.본인만 공제 가능 항목 | 개별 확인 | 보험료, 교육비 등 본인만 공제 가능한 항목들을 먼저 확인 |
2.인적공제 | 소득이 높은 배우자에게 몰아주기 | 소득이 높은 배우자에게 인적공제를 몰아주어 세금 절감 효과 극대화 |
3.의료비 공제 | 소득이 적은 배우자에게 몰아주기 | 총 급여액의 일정 비율 이상 지출 시 적용, 소득이 적은 배우자에게 유리 |
4.신용카드 사용액 | 사용액과 소득에 따라 분배 | 신용카드 사용액이 많을 경우 소득이 높은 배우자에게 몰아주기 |
5.자녀 세액공제 | 셋째 이상 자녀는 한쪽으로 몰아주기 | 셋째 이상 자녀부터 추가 공제가 적용되므로 한 배우자에게 몰아주기 |
1. 개인별 공제 가능한 항목 확인
연말정산 시 '몰아주기' 전략을 적용하기 전에, 개별적으로만 공제받을 수 있는 항목들을 체크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본인 명의의 보험료에 대한 세액공제는 개인별 한도가 정해져 있습니다. 이와 같이 본인만 공제 가능한 항목들을 먼저 확인하고 나서 나머지 항목들에 대해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소득이 높은 배우자에게 인적공제 몰아주기
맞벌이 부부의 경우, 소득이 높은 배우자에게 인적공제를 몰아주는 것이 유리합니다. 과세표준이 높은 만큼 누진세율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소득이 높은 배우자의 공제 항목을 증가시키면 더 많은 세액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부양가족 공제는 소득이 높은 배우자에게 몰아주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3. 의료비 공제는 소득이 적은 배우자에게
의료비 공제는 소득이 적은 배우자에게 몰아주는 것이 좋습니다. 의료비 공제는 총 급여액의 일정 비율 이상 지출했을 때 적용되므로, 소득이 적은 배우자에게 몰아주면 공제를 받기 위한 최소 지출 금액을 더 쉽게 달성할 수 있습니다.
4. 신용카드 사용액에 따라 공제 분배
신용카드 사용액에 대한 공제는 사용 금액과 소득에 따라 다르게 적용됩니다. 신용카드 사용액이 많은 경우, 소득이 높은 배우자에게 몰아주는 것이 유리합니다. 반면, 사용액이 적다면 소득이 적은 배우자에게 몰아주어 공제 한도에 도달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5. 셋째 자녀 이상 세액공제는 한쪽으로 몰아주기
자녀 세액공제의 경우, 셋째 자녀 이상부터는 한 배우자에게 몰아주는 것이 더 큰 혜택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셋째 자녀부터 추가 공제가 적용되므로, 한쪽 배우자에게 몰아주어 최대한의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소득이 높은 쪽에 몰아주되, 의료비와 신용카드 사용액은 상황에 따라 달리 적용한다"는 원칙을 반드시 기억하세요!